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암모니아에 대한 작업환경측정․ 분석 기술지침(A-176-2019) o 관련규격 및 자료 -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NMAM), 5th ed, www.cdc.gov/niosh/nmam -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U.S.A),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 www.osha.gov/dts/sltc/methods/index.html - Health and Safety Executive (U.K.),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MDHS) guidance, www.hse.gov.uk/p.. 더보기
호흡보호구의 선정·사용 및 관리에 관한 지침(H-82-2020 o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화학물질 노출 근로자를 위한 호흡보호구 선정 지침 개발. 2013-연구원-1203 - OSHA : 1910. 134, Respiratory Protection, revised 6/8/2011 - OSHA : Small Entity Compliance Guide for the Respiratory Protection Standard, 2011 - NIOSH : Guide to industrial respiratory protection, 1987 - NIOSH : NIOSH Respirator Selection Logic, 2005 - HSE : Res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at work – a practical guide, 20.. 더보기
공기재킷의 제작․사용에 관한 기술지침(G-76-2011)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 「용접․ 용단작업시 화재예방 기술지침」 - 안전보건기술지침 「배관제작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KS규격 KS M 6543 (2003년, 용접 및 절단용 고무호스) -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24 (용기의 도색 및 표기)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233조(가스용접 등의 작업)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1조(통풍 등이 충분하지 않은 장소에서의 용접 등) 공기재킷의 제작․사용에 관한 기술지침(G-76-2011) 1.목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제작상의 안전조치 5. 사용상의 안전조치 6. 관리상의 안전조치 1.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3조 (가스용접 등의 작업) 제2.. 더보기
저압 개폐장치의 정비에 관한 기술지침(E-18-2012)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85-2011(전기설비 설치상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105-2011(전기작업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O-3-2011(전기설비의 정비를 위한 일반 기술지침 - Code of practice for maintenance of electrical switchgear and controlgear for voltage up to and including 1 kV BS 6423 : 1983, BSI - Electrical switchgear and safey : concise guide for users, INDG 372, HSE, 2003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 더보기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수립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H-80-2-21) o 관련규격 및 자료 - Permit-Required Confined Spaces, OSHA 3138-01R 2004. - Criteria for recommended standard-working in confined spaces, NIOSH, 1979 - BS : Confined spaces regulations 1997 (SI 1997, L101) - BS : Safe work in confined spaces (BS guidance INDG-258, L101) - 질식재해 발생 특성별 예방 매뉴얼 개발(안전보건공단 연구보고서 2015-보건-1076) - KOSHA Guide X-68-2015 밀폐공간 위험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o 관련 법규 ․ 규칙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39조(보건조치).. 더보기
실험실 안전보건에 관한 기술지침(G-82–2018) o 관련규격 - Occupational exposure to hazardous chemicals in laboratories - OSHA 1910.1450 - Chemical hygiene in laboratories - 1910.1450 App. A(NSC recommendation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 산업안전보건법 제 23조(안전상의 조치), 제 24조(보건상의 조치)의 규정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폭발ㆍ 화재 및 위험물누출에 의한 위험방지 -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고용노동부고시) -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실험실 안전보건에 관한 기술지침(G-82–2018)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실험실의 안전보건.. 더보기
고열로부터 용기 보호에 관한 기술지침(D-30-2012) o 관련규격 및 자료 - 영국 ICI Standard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3조 (소화설비) 고열로부터 용기 보호에 관한 기술지침(D-30-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용기보호지침 5. 지면의 경사유지 6. 외부 보온 7. 물분무 8. 내부 감압 9. 전열가열용기 10. 단열용기 제1장 일반사항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43조(소화설비)의 규정에 의거 고열로부터 용기를 보호하여 용기의 폭발을 예방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안전보건규칙 별표1(위험물질의 종류)의 제4호, 제5호 및 제7호에서 규정하는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더보기
수작업에 관한 안전가이드(G-8-2011) o 관련규격 및 자료 - Manual handling operations regulations, HSE Guidance, 1992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5장 (중량물 취급 시의 위험방지) 제6장 (하역작업 등에 의한 위험방지) 수작업에 관한 안전가이드(G-8-2011) 1.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적인 위험사항 5. 수작업시의 위험요소 6. 수작업시 상해위험 예방대책 1.목적 이 지침은 수작업에 의한 기계설비 또는 화물 취급시의 재해예방을 위한 기술적인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1) 이 지침은 크레인, 리프트, 트럭 등과 같은 기계설비나 차량에 의한 화물 취급과는 .. 더보기
물질안전보건자료교육 실시에 관한 지침(H-158-2021) ○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W-15-2020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지침 - KOSHA GUIDE W-2-2021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신뢰성 평가 지침 - 최재욱 등. 화학물질의 유해성 소통 활성화에 관한 연구(2012-연구원-929).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2 - OSHA Hazard Communication Standards. Safety data sheets for substances and preparations dangerous for supply (Second edition). - Guidance on regulation 6 of the Chemicals (hazard information and packaging for supply) Regulations 1994 Appr.. 더보기
지게차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185-2015) ○ 관련규격 및 자료 - 일본 노동성고시 제89호(포크리프트의 구조규격) - Safety in working with Lift Trucks, HSE, 2008 ○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편 제10절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제 171조~제183조) - 건설기계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2장 제4절 지게차 및 제3장 건설기계 공통사항(국토교통부령 제7호) - 건설기계 관리법 제6장 건설 기계 조종사 면허 지게차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185-2015)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적용 지게차 5. 일반사항 6. 지게차의 작업조건 7. 운행경로 8. 안전점검 등 9. 안전작업방법 10. 지게차 운전자의 고용과 훈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 더보기
불산 취급공정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21-2010) ○ 관련규격 및 자료 - API RP 751 2nd edition, Feb. 1999 “Recommended Practice for Safe Operation of Hydrofluoric Acid Alkylation Units” - ATSDR (미국 독성물질 질병등록국) 불산관련 안전보건자료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6) 불산 취급공정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21-2010)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불산의 위험성 5. 근원적인 안전확보 6. 개인보호구 7. 안전운전계획 8. 입·퇴실 절차 9. 방문자 관리 10. 불산 등의 누출사고에 대한 대응 11. 사고 조사 및 보호 1. 목 적 이 지침은 불산을 취급하는 공정에서의 안전․ 보건에 관하여 필요한 .. 더보기
정전기에 의한 화재·폭발 재해조사에 대한 기술지침(E-182-2021) ○ 관련규격 및 자료 - 정전기 핸드북, 일본정전기학회 - 정전기안전, 동화기연, 2001년 ○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폭발 등 방지) 정전기에 의한 화재·폭발 재해조사에 대한 기술지침(E-182-202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정전기 재해 분석에 대한 일반 사항 5. 정전기 재해 분석기법에 대한 기술적 사항 6. 정전기 재해 사례와 분석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폭발 등 방지)에 따라 화재·폭발 발생사업장에서 재해조사 시에 점화원으로써 정전기로 규정하기 위해서 고려하여야 할 정전기적 파라미터 및 재해조사에 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 더보기
수소충전소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30-2021) ○ 관련 규격 및 자료 - ISO/TS 20100:2008,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2008 - ISO 19880-5:2019,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5:Dispenser hoses and hose assemblies", 2019 수소충전소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30-202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수소충전소의 설계 5. 화재․폭발 방지대책 6. 충전소 호스와 호스어셈블리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장에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장 제1절 (위험물 등이 취급) 등에서 수소를 충전하는 수소충전소의 안전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더보기
침지탱크의 작업안전 관리 기술지침(P-17-2012) o 관련 규격 및 자료 - U.S.A. OSHA, Regulation(Standards-29 CFR), Dipping and coating operations: Coverage and definitions -1910.123, 1910.124, 1910.125, 1910.126 - NFPA 30,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1993 - NFPA 34, Standard for Dipping and coating processes using flammable or Combustible Liquids, 1995 - ACGIH의 "Industrial Ventilation: A Manual of Recommended Practice" (22nd ed., 1995): - .. 더보기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장치 및 설비 명세 작성방법"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장치 및 설비 명세 작성방법" 1. 작성예시 2. 작성방법 1) 장치번호 : P&ID와 일치하게 기입 2) 장치명 : Column/Tower류, 반응기류, Drum/Vessel류, 열교환기류, Heater/Furnace류, 탱크류, 원심분리기, 집진기 등의 Stationary Equipment(고정장치 - 열교환기는 동체측과 튜브측(또는 Hot side와 Cold side)을 구분하여 기입 - Jacket/Coil이 부착되는 장치 또는 Inner pipe/Outer pipe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유체가 통과하는 장치는 유체가 접촉되는 부분을 구분하여 작성(Shell/Coil, Shell/Jacket 구분) 3) 용량 : 장치 및 설비의 직경 및 높이 등을 기재 - Tower.. 더보기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동력기계 명세 작성방법"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동력기계 명세 작성방법" 1. 작성예시 2. 작성방법 1) 동력기계번호 : P&ID와 일치하게 기입 2) 동력기계명 : 펌프류, 압축기류, Fan류, 교반기류, 전동 Shutter, Crane/Hoist, 컨베이어, 원심기, 포장용 로봇, 주조기, 기타 Machinery류 - Rotary valve, MOV, Damper 등에 부착된 모터는 제외한다. 3) 명세 - 펌프류 : 용량(㎥/hr)×토출압력(MPa)×분당회전수(RPM). 왕복동형식 또는 다이아프램식은 분당회전수 대신 분당스트로크수(SPM) 작성 - 압축기류 : 용량(㎥/hr)×토출압력(MPa)×분당회전수(RPM). 왕복동형식 또는 다이아프램식은 분당회전수 대신 분당스트로크수(SPM) 작성 - Fan 및 Blower.. 더보기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종류(제420조, 제439조 및 제440조 관련)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종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2]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종류(제420조, 제439조 및 제440조 관련) 1. 유기화합물(117종) 1)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111-30-8) 2)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55-63-0) 3) 니트로메탄(Nitromethane; 75-52-5) 4) 니트로벤젠(Nitrobenzene; 98-95-3) 5) p-니트로아닐린(p-Nitroaniline; 100-01-6) 6) p-니트로클로로벤젠(p-Nitrochlorobenzene; 100-00-5) 7)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Di(2-ethylhexyl)phthalate; 117-81-7) 8) 디니트로톨루엔(Dinitrotoluene; 2.. 더보기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 내화구조 명세 작성방법"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내화구조 명세 작성방법" 1. 작성예시 [내화도면 평면도 예시] [내화도면 입면도 예시] 2. 작성방법 1) 설비내의 철구조물에 대한 내화(Fire Proofing) 처리 여부를 고용노동부 고시 별지 제18호서식의 내화구조 명세에 기재 - 내화대상도면은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고, 리스트에는 해당부위별로 내화시공방법 표시 - 내화 처리방법 및 부위는 내화방법의 종류별로 1종씩 작성 (예, 철근콘크리트, 내화페인트 등) 3. 참고사항 1) 내화대상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0조) (1) 가스 또는 분진폭발위험장소에 설치되는 다음 부분. 다만, 건축물 등의 주변에 화재에 대비하여 물분무 시설 또는 폼헤드설비 등의 자동소화설비를 설치하여 건축물 등이 화재 시에 2시간 이.. 더보기
【별표 2】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제2조제2항 관련) 안전인증ㆍ자율안전확인신고의 절차에 관한 고시(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0호) 【별표 2】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제2조제2항 관련) 번호 기계․기구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 1 연삭기 또는 연마기 (휴대형은 제외)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연삭숫돌 또는 연마재 등을 사용하여 금속이나 그 밖의 가공물의 표면을 깍아내거나 절단 또는 광택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 2 산업용 로봇 직교좌표로봇을 포함하여 3축 이상의 메니퓰레이터(엑츄에이터, 교시 펜던터를 포함한 제어기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를 구비하고 전용의 제어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및 자동제어가 가능한 고정식 로봇 3 혼합기 회전축에 고정된 날개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저어주거나 섞는 것.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 더보기
고압가스 특정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기준 고압가스 특정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기준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기준은 다음의 각 호에 따른다. 1. 제조(처리)능력 산정방법 가. 제조(처리)능력 산정방법은 PFD(Process Flow Diagram)의 각 운전 Case별 Material Balance를 기준으로 액화가스(Ton/day), 압축가스(0℃, 게이지압력 0Kg/㎠)로 환산한 처리량(N㎥/day)을 계산한다. 나. 제조(처리)능력 세부산정방법 ① 원료가 고압가스이고 최종 제조가스가 고압가스이면 원료와 제조가스 전부를 처리량으로 계산한다. 다만, 원료와 제조가스가 같은 것이 있는 경우 처리량이 중복 계산되지 않도록 한다. ② 원료가 고압가스이고 최종 제조가스가 고압가스가 아니면 원료가스를 가스 종류별로 구분하.. 더보기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압력용기 등 안전검사 대상 재검사 주기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압력용기 등 안전검사 대상 재검사 주기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령 제272호, 2019. 12. 26, 전부개정] 제126조(안전검사의 주기와 합격표시 및 표시방법) ① 법 제93조제3항에 따른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의 안전검사 주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크레인(이동식 크레인은 제외한다), 리프트(이삿짐운반용 리프트는 제외한다) 및 곤돌라 : 사업장에 설치가 끝난 날부터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되, 그 이후부터 2년마다(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6개월마다) 2. 이동식 크레인, 이삿짐운반용 리프트 및 고소작업대 : 「자동차관리법」 제8조에 따른 신규등록 이후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되, 그 이후부터 .. 더보기
공정안전(PSM) 보고서 "전기 단선도" 작성범위 및 심사기준 공정안전(PSM) 보고서 "전기 단선도" 작성범위 및 심사기준 ​ ​ ​ 1. 전기 단선도 작성방법​ 1) 작성범위 o 수전설비의 책임분기점부터 저압변압기의2차측(부하설비1차측)까지 2) 주요 포함 내용 o 부스바 또는 케이블의 종류,굵기 및 가닥수 등 o 변압기의 종류,정격(상수, 1・2차 전압), 1・2차 결선 및 접지방식,보호방식, 전동기 등 연동장치와 관련된 기기의 제어회로 o 각종 보호장치(차단기,단로기)의 종류와 차단 및 정격용량,보호방식 등 o 예비 동력원 또는 비상전원 설비의 용량 및 단선도(첨부 자료) o 부하용량 및 전원측에 설치된 차단기의 차단전류 ※ 필요시 단락용량 계산서 및 비상전원설비 용량 산출계산서 첨부 3) 심사 주안점 o 범위의 누락 여부 o 변압기의 종류,정격,결선방법,접.. 더보기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중간검사 방법 및 판정기준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중간검사 방법 및 판정기준 중간검사 방법 및 판정은 KGS CODE FP111(이하 “FP111”이라 한다) 4.2.1 및 아래의 기준에 따라 실시한다 더보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7]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종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7]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종류(제227조부터 제229조까지, 제243조 및 제2편제2장제4절 관련) 1. 화학설비 가. 반응기ㆍ혼합조 등 화학물질 반응 또는 혼합장치 나. 증류탑ㆍ흡수탑ㆍ추출탑ㆍ감압탑 등 화학물질 분리장치 다. 저장탱크ㆍ계량탱크ㆍ호퍼ㆍ사일로 등 화학물질 저장설비 또는 계량설비 라. 응축기ㆍ냉각기ㆍ가열기ㆍ증발기 등 열교환기류 마. 고로 등 점화기를 직접 사용하는 열교환기류 바. 캘린더(calender)ㆍ혼합기ㆍ발포기ㆍ인쇄기ㆍ압출기 등 화학제품 가공설비 사. 분쇄기ㆍ분체분리기ㆍ용융기 등 분체화학물질 취급장치 아. 결정조ㆍ유동탑ㆍ탈습기ㆍ건조기 등 분체화학물질 분리장치 자. 펌프류ㆍ압축기ㆍ이젝터(ejector) 등의 화학물질 이송 또는 압축설비 2... 더보기
공정안전보고서 "세척·세안 시설 및 안전 보호장구 설치계획" 작성방법 공정안전보고서 "세척·세안 시설 및 안전 보호장구 설치계획" 작성방법 (1) 작성예시 세척·세안 시설 및 안전 보호장구 설치계획 1. 안전보호장구 주) ① 개인휴대용은 제외할 수 있다. ② 점검주기는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주1회로 요구된다. 2. 세척세안시설 주) 위험물관리법, 화학물질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에서 요구하는 물품을 포함하여 작성할 수 있다.공정안전보고서 예시 3. 비상방재물품 주) ① 위험물관리법, 화학물질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에서 요구하는 물품을 포함하여 작성할 수 있다. ② 점검주기는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주1회로 요구된다. (2) 작성방법 심사대상 설비에서 취급?저장하는 화학물질에 근로자가 다량 노출되었을 경우에 대한 세척,세안시설 및 안전보호 장구 등의 설치?배치계획에 관하여 .. 더보기
[별표 1]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의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제2조제1항 관련) 안전인증ㆍ자율안전확인신고의 절차에 관한 고시(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0호) [별표 1]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의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제2조제1항 관련) 번호 기계․기구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 1 프레스 동력으로 구동되는 프레스, 전단기 및 절곡기.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프레스, 전단기 및 절곡기는 제외 가. 열간 단조프레스, 단조용 해머, 목재 등의 접착을 위한 압착프레스, 톰슨프레스(Tomson Press), 씨링기, 분말압축 성형기, 압출기, 고무 및 모래 등의 가압성형기, 자동터릿펀칭프레스, 다목적 작업을 위한 가공기(Ironworker), 다이스포팅프레스, 교정용 프레스 나. 스트로크가 6밀리미터 이하로서 위험한계 내에 신체의 일부가 들어갈 수 없는 구조의 프레스, 전단기.. 더보기
전기감응 방호장치의 선정 및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E-8-2012)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94-2011(산업용 기계설비의 전기장치 설치에 관한 기술기준) - HSG180 Electro-sensitive protective equipment - IEC 61496-2 Safety of machinery - Electro-sensitive protective equipment - Part 2: Particular requirements for equipment using active opto-electronic protective devices - BS EN 61496-1 Safety of machinery. Electro-sensitive protective equipment. General requirements and tests o 관련법령․.. 더보기
체인 슬링 사용·점검 등에 관한 기술지침(G-134-2020) ○ 관련 규격 및 자료 ­ KS B 6243:2016, 호이스트용 체인 슬링 ­ EN 818-6:2000+A1:2008, Short link chain for lifting purposes. Safety. Chain slings. Specification for information for use and maintenance to be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 ISO3056, Non-calibrated round steel link lifting chain and chain slings — Use and maintenance ­ OSHA / Alloy Steel Chain Slings: Guidance on Safe Sling Use ○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