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산업안전

화학물질의 유해성․ 위험성 분류 지침(W-16-2020) o 관련규격 및 자료 -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GHS)(Sixth revised edition, 2015​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및 제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56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방법 및 기재사항) -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130호(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 화학물질의 유해성․ 위험성 분류 지침(W-16-2020) ​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유해성․ 위험성의 분류 방법 및 절차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110조(물질.. 더보기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지침(W-15-2020) ○ 관련규격 및 자료 -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GHS)(Sixth revised edition, 2015)​ ○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및 제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56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방법 및 기재사항)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지침(W-15-2020) ​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작성 대상 5. 형식 6. 작성 원칙 7. 항목별 작성 방법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110조.. 더보기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질의회신집 ​ ​ Ⅰ. 물질안전보건자료 관련 법규 및 규정 Ⅱ. 물질안전보건자료 및 경고표지 질의・회시 1. MSDS 작성 및 제공방법 2. 경고표지 3. MSDS 게시・비치 및 교육 Ⅲ. 물질안전보건자료 교육 매뉴얼 부 록 1.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7호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2. 주요 용어정의 첨부자료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질의회신집 더보기
산안법 개정으로 확 바뀐 "MSDS 제출 제도" 안내서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의 제출" 2021. 1. 16. 부터 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에 따라 물질안전보건자료대상물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려는 자는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 의해 작성된 물질안전보건자료*를 공단으로 제출하여야 합니다. ++++++++++++++++++++++++++++++++++++++++++++++++++++++++++++++++++++ ​ [첨부자료] MSDS 제출제도 안내서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Reference Site ≫ https://blog.naver.com/koshablog/222414065438 산안법 개정으로 확! 바뀐 MSDS제도,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됨에 따라 변경된 MSDS 제도가 2021년 1월 16일부터 시행되고 있.. 더보기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Q&A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Q&A 제1장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제출 제2장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대체자료 기재 심사 제3장 국외제조자가 선임한 자 관련 제4장 경고표시 관련 제5장 기타 질의사항 (물질안전보건자료 제공, 게시 및 교육 등) 본 Q&A는 화학물질을 제조·수입하려는 자가 2021년 1월 16일부터 시행되는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제출 및 대체자료 기재 심사」와 관련된 업무 수행 시발생할 수 있는 예상 질의를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도시행 이후 관련 법 및 고시 개정 등에 따라 답변이 변동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Q&A에는 ‘물질안전보건자료 시스템’에 관한 내용이 없습니다. ‘물질안전보건자료 시스템’에 대한 내용은 홈페이지(msds.. 더보기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시행 2021. 1. 16.]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 2020. 11. 12., 일부개정.] 고용노동부(화학사고예방과), 044-202-7757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04조, 제110조부터 제116조까지, 같은 법 시행령 제86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141조, 제156조부터 제171조까지, 별표 18에 따른 화학물질의 분류, 물질안전보건자료, 대체자료 기재 승인, 경고표시 및 근로자에 대한 교육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2조(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화학물질"이란 원소와 원소간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물질을 말한다. 2. .. 더보기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8호)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8호) 제정 1986.12.22 (노동부고시 제86-45호) 개정 1988.12.23 (노동부고시 제88-69호) 개정 1991. 3.30 (노동부고시 제91-21호) 개정 1998. 1. 5 (노동부고시 제97-69호) 개정 2002. 2. 4 (노동부고시 제2002- 2호) 개정 2002. 5. 6 (노동부고시 제2002- 8호) 개정 2007. 6. 8 (노동부고시 제2007-25호) 개정 2008. 6.17 (노동부고시 제2008-26호) 개정 2009. 9.25 (노동부고시 제2009-38호) 개정 2010. 6.28 (노동부고시 제2010-44호) 개정 2011. 3. 2 (고용노동부고시 제2011-13호) 개정 2012. 3.26.. 더보기
GHS 분류에 따른 MSDS 작성 방법 Contents o GHS 화학물질 분류의 사업장 적용에 따른 일반원칙 o MSDS의 작성 및 관리의 체계화 o 경고표지의 구성요소 및 작성관리 o 공단의 GHS MSDS 정보제공과 사업장의 대응방안 (문제해결을 위한 질의응답) [첨부파일] GHS_분류에 따른 MSDS 작성방법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시행 2021. 1. 16.]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 2020. 11. 12., 일부개정.] 고용노동부(화학사고예방과), 044-202-7757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04조, 제110조부터 제116조까지, 같은 법 시행령 제86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141조, 제156조부터 제171조까지, 별표 18에 따른 화학물질의 분류.. 더보기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에 관한 기술상의 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9호) ​ ​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에 관한 기술상의 지침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9호, 2020. 1. 14., 일부개정] ​ ​ 고용노동부(화학사고예방과), 044-202-7760 ​ ​ ​ [ 목 차 ] 제1조(목적) 제2조(용어의 정의) 제3조(선정기준) 제4조(설치장소) 제5조(설치위치) 제6조(경보설정치) 제7조(성능) 제8조(구조) 제9조(보수) 제10조(재검토기한)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3조에 따라 가연성 또는 독성물질의 가스나 증기의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가스누출감지 경보설비 설치에 관하여 사업주에게 지도·권고할 기술상의 지침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2조(용어의 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더보기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P-166-2020)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S C 6590, 가연성 가스감지기의 성능시험방법 - KS C 6591, 가연성 가스감지기의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 - KS C 6592 독성 가스감지기의 성능시험방법 - KS C 6593, 독성 가스감지기의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 - KS C IEC 60079-0, 방폭전기기계·기구-일반 요구사항 - KS C IEC 61000-6-2,4 전기자기적합성(EMC)-제6부 : 일반기준-제2절, 제4절 : 산업용 환경에서 사용하는 기기의 전기자기 내성기준 - NFPA, 329 “Recommended Practice for Handling Releases of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and Gases”, 2005 - ANSI/ISA-92.00.. 더보기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에서 정전기의 계측제어에 관한 기술지침(P-114-2020) o 관련 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 “정전기 재해예방에 관한 기술지침” - P&G Process Safety Practice 301 "Control of Ignition Sources" - CCPS "Electrostatic Ignitions of Fires and Explosions" - Static Protective FIBC Fabrics "Risks of Ignition", 2005 - T.B. Jones :"Nomograms for assessment of ignition risk associated with capacitive discharges" - 일본, 노동안전위생총합연구소 “정전기 안전지침"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에서 정전기의 계측제어에 관한 기술지침(P-114-2020) ​ 1... 더보기
전기작업계획서의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E-154-2016) o 관련규격 및 자료 - OSHA 29 CFR 1910(Occupational Safety & Health Standards) - NFPA 70E(Standard for Electrical Safety in the Workplace) - HSG 85 Electricity at Work : safe working practices - 고용노동부고시 제 2013-54호(방호장치 의무안전인증 고시) - KS C IEC 61230(활선작업 - 접지 또는 단락접지용 휴대장비) - KS C IEC 61478(활선작업– 절연사다리)​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절(전기작업에 대한 위험방지) 전기작업계획.. 더보기
서지보호장치(SPD)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12-2011)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 60364-5-53: 2002. 6(Electrical installtions of buildings-Part 5: Selection and erection of electrical equipment -Section 534: Devices for protection against overvoltages) - IEC 61643-12: 2002. 2(Low-vlotage surge protective devices-Part 12: Surge protective devices connected to low-voltage power distribution systems-Selection and application principles) - KSC IEC 61643-12: 2005.. 더보기
건축물 등의 피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07-2011)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 62305-1:2006(Protection of structures against lightning part 1, General principles) - IEC 62305-3:2006(Protection of structures against lightning part 3, Physical damage to structures and life hazard) - KSC IEC 62305-1: 2007(피뢰시스템-제1부: 일반원칙) - KSC IEC 62305-3: 2007(피뢰시스템-제3부: 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6조(피뢰침의 설치) 건축물 등의 피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07-2011) .. 더보기
저압용 전기설비의 접지설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02-2011) o 관련규격 - IEC 60364-4-41 (2005) : Low-voltage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4-41 : Protection for safety - Protection against electric shock - IEC 60364-5-54 (2005) : Electrical installations of buildings - Part 5-54 : Selection and erection of electrical equipment - Earthing arrangements, protective conductors and protective bonding conductors - IEC 60449 amendment 1 (1979) : Amendment 1, Volt.. 더보기
석유화학공장의 전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97-2011) o 관련규격 - KOSHA GUIDE E-47-2010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 및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48-2010 (가스폭발분위기에서의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미국석유협회(API :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 Recommended practice 540 -Electrical installation in petroleum processing plants - 미국 전기설비기준(NEC : National electrical code)​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 (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석유화학공장의 전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97-2011) ​ ​1.목적 2. 적용.. 더보기
정전기 재해예방에 관한 기술지침(E-89-2017) ㅇ 관련규격 - NFPA 30 :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 NFPA 77 : Recommended practice on static electricity 2014 Edition -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 5958: Code of practice for control of undesirable static electricity, part 2 - 日本靜電氣學會(編), Handbook of electrostatics​ ㅇ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 정전기 재해예방에 관한 기술지침(E-89-2017) - 목 차 - 제 1 장 일반사항 제 2 장 정전기의 위.. 더보기
피뢰시스템의 리스크관리에 관한 기술지침(E-83-2011) o 관련규격 - IEC 62305-2 Protection against lightning - Part 2 : Risk management​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피뢰시스템의 리스크관리에 관한 기술지침(E-83-2011) ​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뇌격으로 인한 손상 5. 리스크 및 리스크 요소 6. 리스크 관리 1. 목적 이 지침은 낙뢰로 인한 위험요소의 리스크 평가 절차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구조물 및 인입설비의 낙뢰로 인한 위험 요소에 대하여 위험을 줄이거나 허용 범위 이하로 하기 위한 적절한 보호대책의 선택에 대하여 적용한다. ​ 3. 용어의 정의 (1) 이.. 더보기
정전 및 단락접지 절차에 관한 기술지침(E-59-2012) o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OSHA 29 CFR 1910(Occupational Safety & Health Standards) - NFPA 70B Recommended practice for electrical equipment maintenance, CH23(De-energizing and grounding of equipment to provide protection for Electrical maintenance personnel)​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정전 및 단락접지 절차에 관한 기술지침(E-59-2012) ​- 목 차 - 1.목적 2.적용범위 3.용어의 정의 4. 일반 사항 5. 전.. 더보기
전기단선도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E-46-2013)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C 0102(전기용 기호) - KS C 0103(시퀀스 제어 기호) - KS C 0301(옥내 배선용 기호) - KS C IEC 60050-441(국제 전기용어-배전반, 제어반 및 퓨즈) - 안전보건기술지침(공정배관계장도 작성지침) - 국내 엔지니어링 메뉴얼​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심사․ 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전기단선도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E-46-2013) ​- 목 차 -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전기설비별 표시되어야 할 사항 5. 도면의 작성 6. 범례도 (legend) 7. 도면관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고 한다) 제 49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같.. 더보기
접지선과 접속방법에 관한 기술지침(E-38-2012) o 관련규격 및 자료 - NESC 093 Grounding conductor and means of connection - 전기설비기술기준 - 내선규정​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접지선과 접속방법에 관한 기술지침(E-38-2012) ​ -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접지선과 접속방법 1. 목적 이 지침은 현장에서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접지선과 접지선의 접속방법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접지선의 구성, 접속 및 방호를 대상으로 한다. ​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중성선(Neutral cond.. 더보기
접지도체의 연결점에 관한 기술지침(E-37-2012)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92-2011(접지설비 계획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85-2011(전기설비 설치상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IEEE Std. 142 : Grounding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 - 미국 전기설비기술기준(NEC) ​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2조 (전기기계․ 기구의 접지) 접지도체의 연결점에 관한 기술지침(E-37-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직류계통의 접지 5. 교류계통의 접지 6. 보조 접지도체 7. 울타리 접지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현장 근로자의 안전확보를 위해 실시되는 접지도체의 연결.. 더보기
내화구조에 관한 기술지침(D-45-2012) ○ 관련규격 및 자료 - API PUBL 2218(Fireproofing practices in petroleum and petrochemical processing plants) - IRI Information(Fireproofing for oil and chemical properties) - KSF 2257-1,6,7(건축 부재의 내화 시험 방법) - UL 1709(Rapid rise fire test of protection materials for structural steel) ○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0조(내화기준) 내화구조에 관한 기술지침(D-45-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내화구조의 대상 및 범위 5. 내화성능 .. 더보기
접지설비 계획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E-92-2017)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EE Std. 142 : 전력계통시스템의 접지 (Grounding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 - IEEE Std. 80 : IEEE 변전설비 접지지침 (IEEE guide for safety in AC substation grounding) - 미국 전기설비기술기준 (NEC) - 미국 연방직업안전보건국(OSHA) CFR 1910-S(Safeguarding of employees in their workplace)​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2조 (전기기계․ 기구의 접지) 접지설비 계획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E-92-2017) ​ 1. 목 적 2. 적용 3. 정의 4. 접.. 더보기
수소 벤트스택 및 벤트배관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42-2012) o 관련규격 - CGA G-5.5 1996 : Hydrogen Vent Systems Compressed Gas Association - Relief Systems Handbook, CYRIL F. PARRY - API RP 521 : Guide for Pressure Relieving and Depressuring Systems - NFPA 50A : Gaseous Hydrogen Systems at Consumer Sites - NFPA 50B : Liquified Hydrogen Systems at Consumer Sites - NASA Safety Standard for Hydrogen and Hydrogen System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67조(.. 더보기
플레어시스템의 역화방지설비 설계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1-2017)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RP 520, “Sizing,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Pressure– relieving Devices in Refineries”, 2014 - API STD 521, “Pressure– relieving and Depressuring Systems”, 2014 플레어시스템의 역화방지설비 설계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1-2017)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역화방지설비의 구성 및 종류 5. 액체 밀봉드럼의 설계 6. 플레어시스템의 역화방지설비 설치 7. 플레어헤더의 봉입 및 퍼지가스 1. 목적 이 지침은 플레어팁 등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역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플레어시스템의 역화방.. 더보기
플레어시스템의 녹아웃드럼 설계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0-2017)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RP 520, “Sizing,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Pressure– relieving Devices in Refineries”, 2014 - API STD 521, “Pressure– relieving and Depressuring Systems”, 2014 플레어시스템의 녹아웃드럼 설계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0-2017) -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녹아웃드럼의 분류 5. 녹아웃드럼에서 액적의 크기 기준 6. 녹아웃드럼의 크기 결정 7. 녹아웃드럼의 설치시 고려사항 1. 목적 이 지침은 안전밸브 방출물 등에 포함되어 있는 액체가 플레어스택으로 가스와 함께흘러들어 가지 않도록 액체를 분리․ 포집하기 .. 더보기
지하-지상 배관 연결부의 플랜지 절연장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51-2020) o 관련 규격 및 자료 - 미국 NACE Standard Practice, SP0286-2007, “Electrical Isolation of Cathodically Protected Pipelines”, 2007 - 미국 NACE Standard Practice, SP0169-2007, “Control of External Corrosion on Underground or Submerged Metallic Piping Systems”, 2007 - 미국 NACE Standard Practice, SP0177-2007, “Mitigation of Alternating Current and Lightning Effects on Metallic Structures and Corrosion Control Sy.. 더보기

728x90
반응형